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전체 글82

Postconstruct component bean 생성 이후 lifecycle 동안 한 번 bean으로 등록한다. 초기화 셋팅 목적으로 사용 2021. 2. 9.
Jackson Library (ObjectMapper) 의존성 spring-starter-web -> spring-starter-json -> Jackson 라이브러리 spring boot라면 start-web만 의존받으면되고, 그렇지 않을경우 jackson을 별도로 추가하면 된다. ObjectMapper JSON문자열 Object objectMapper.readValue(json, Car.class) (json은 json형식의 string) JSON문자열-> JsonNode JsonNode jsonNode = objectMapper.readTree(json); String color = jsonNode.get("color").asText(); String type = jsonNode.get("type").asText(); Json문자열 -> Map Map .. 2021. 2. 9.
SPRING SECURITY SPRING SECURITY DispatcherServlet 받기 이전에 ServletFilter를 통해 인증/인가 처리. (ServletFilter는 WAS담당이지만 DelegatingFilterProxy를 boot에서 SecurityFilterAutoConfiguration 설정하여서 서블릿에 등록, 요청이 오면 FilterChainProxy(스프링 필터)에게 위임) 필터를 통한 접근제어 프레임웤 용어 인증(Authentication) : 로그인 인가(Authorization) : 권한확인 AuthenticationFilter - 로그인url 감시 -> AuthenticationManager인증 -> 성공이면 Authentication를 SecurityContextHolder에 저장 Authentic.. 2021. 2. 9.
JUNIT5 TDD 이란? 선 테스트 코드 작성, 후 구현. 이는 총 3가지 주요 절차의 반복입니다. 실패 : 지금 구현할 기능의 실패하는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 성공 : 테스트 통화시키는 코드 작성 리팩토링 : 코드 개선 TDD 사용 이유 문서화하여 로직 이해돕기 서드파티코드 변경/오류시 체크 기존 동작을 해치지 않으며, 변경점/새코드 검증 2. 사용법 생성주기 (실행 순서 보장X) @BeforeEach : 각 테스트동작이전에 실행 @AfterEach @BeforeAll : 클래스 테스트 맨처음에 한 번 실행 @AfterAll Assert fail() assumingThat("CI".equals(System.getenv("ENV")), () -> { assertEquals(2, calculator.divide(4, .. 2021. 2. 9.
728x90
반응형